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제도에 대해 알아보자
·
건축법, 주택법
1.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첫걸음 최근 건축 분야에서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여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제도입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2025년까지 모든 신규 건물에 대해 제로에너지 기준을 의무화하기 위한 로드맵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건축 분야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2.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정의와 필요성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건축물의 연간 에너지 소비량이 제로에 가까운 수준으로 줄어들고, 필요한 에너지를 신재생 에너지원으로 충당하는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건축물은 에너지 효율성..
서울특별시 녹색건축물 설계 기준 (2024.1.1.)
·
건축법, 주택법
제1조 적용대상 및 방법 ① 적용대상: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적용 대상인 다음에 해당하는 건축물  1.「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제14조에 따른 에너지 절약계획서 제출 대상 건축물 2.「주택법」제15조에 따른 사업계획승인 대상 공동주택   ② 적용대상의 구분: 용도와 규모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  1. 신축, 별동 증축, 전부 개축, 전부 재축, 이전의 경우등 급주 거비 주 거[가]1,000세대 이상연면적의 합계 10만㎡ 이상[나]300세대 이상 ~ 1,000세대 미만연면적의 합계 1만㎡ 이상~10만㎡ 미만[다]30세대 이상 ~ 300세대 미만연면적의 합계 3천㎡ 이상~1만㎡ 미만[라]30세대 미만연면적의 합계 3천㎡ 미만  2. 제1호에 해당하지 않는 다음의 행위구 분내 용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