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명 주택 건설 인증기준에 대해 알아보기(법적근거, 인증대상, 인증기준, 관계법령, 인증등급, 종류, 신청시기, 수수료)
·
건축법, 주택법
1. 장수명주택인증이란? 장수명 주택 건설·인증기준 제 2조(정의) 1. ‘장수명 주택’이란 내구성, 가변성, 수리 용이성에 대하여 장수명 주택 성능등급 인증기관의 장이 장수명 주택의 성능을 확인하여 인증한 주택을 말한다. 2. 적용대상, 범위 장수명 주택 건설·인증기준 제3조(적용대상 및 범위) 이 기준은 「주택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16조에 따라 사업계획승인을 받아 건설하는 1,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 적용한다. 3. 적용 기준 장수명 주택 건설·인증기준 제4조(장수명 주택 건설기준) 1. 장수명 주택은 일반 주택에 비하여 물리적인 수명과 기능적인 수명을 높여 사회적인 변화, 기술변화, 세대변화, 가족구성 변화 및 다양성 등에 대응 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건설하여야 한다. 2. 물리적인 장..
공공건축물 에너지 관련 주요 법규 정리
·
건축법, 주택법
에너지 효율등급 또는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대상 ■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시행령 [별표 1]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또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표시 의무 대상 건축물 (제12조제2항 관련) 요건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표시 의무 대상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및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표시 의무 대상 1. 소유 또는 관리 주체 가. 제9조제2항 각 호의 기관 나. 교육감 다. 「공공주택 특별법」 제4조에 따른 공공주택사업자 가. 제9조제2항 각 호의 기관 나. 교육감 다. 「공공주택 특별법」 제4조에 따른 공공주택사업자 2. 건축 및 리모델링의 범위 신축ㆍ재축 또는 증축하는 경우일 것. 다만, 증축의 경우에는 기존 건축물의 대지에 별개의 건축물로 증축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신축ㆍ재축 또는 증축하는 경우일 것. 다만..